UX 디자인 다섯가지 법칙
UX 디자인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고 쉬운 UX를 제공하려면 그 기본 바탕은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활용할 심리 법칙 다섯가지는 다음과 같다.
- 피츠의 법칙(Fitts’s Law)
- 힉스의 법칙(Hick’s Law)
- 제이콥의 법칙(Jakob’s Law)
- 밀러의 법칙(Miller’s Law)
- 파킨슨의 법칙(Parkinson’s Law)
1. 피츠의 법칙
목표로 하는 지점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목표 영역의 크기와 목표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목표가 너무 작거나 목표 간 거리가 너무 짧으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간격과 크기, 과업 수행 완료까지 최소한의 목표 개수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2. 힉스의 법칙
사용자에게 주어진 선택지 수나 복잡성이 늘어나면, 결정에 걸리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된다.
1) 긴 프로세스 단계별로 쪼개기: 각각의 단계는 명확한 목적을 갖고 있어야 사용자들이 잘 따라갈 수 있다.
2) 카테고리화 하기: 사용자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선택지들을 카테고리로 나눈다.
3) 점진적으로 정보 노출하기: 많은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한 부분씩 공개한다.
3. 제이콥의 법칙
사용자가 새로운 사이트나 앱을 접했을때, 이미 알고 있는 기존의 UX와 동일한 방식을 기대한다.
사용자들은 학습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미 익숙한 사용 패턴에서 벗어나고 싶어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는 최대한 기존 방식을 유지하는 방식을 따르는게 좋다.
ex) 검색엔진의 검색바는 대부분 상단 중앙에 위치함
4. 밀러의 법칙
사람은 약 일곱개의 정보만 기억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정보는 압도감을 줄 수 있다.
일곱개 이상의 정보를 제공할 때는 그룹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ex) 전화번호 01098761234 → 010-9876-1234
11개의 숫자가 아니라 3개의 그룹으로 인지해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5. 파킨슨의 법칙
사용자는 주어진 시간을 모두 쓸 때까지 특정 과업에 매달리게 된다.
사용자들의 시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효율적인 UX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ex) 주소 검색 시, 일부 단어를 작성하면 나머지 주소를 자동 완성하여 보여주고 선택할 수 있는 기능